본문 바로가기
실증 환국사(역사)

회남자(淮南子) 소개

by 청풍명월7 2017. 2. 19.
반응형

 회남자(淮南子)

 

 

   중국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저술한 책. 21권. 유안이 빈객과 방술가(方術家) 수천을 모아서 편찬한 것으로, 원래 내외편(內外編)과 잡록(雜錄)이 있었으나 내편 21권만이 전한다.

   처음에 원도편(原道編)이라는 형이상학이 있으며, 그 뒤 천문ㆍ지리ㆍ시령(時令) 등 자연과학에 가까운 것도 포함하고, 일반 정치학에서 병학(兵學), 개인의 처세훈(處世訓)까지 열기하고, 끝으로 요략(要略)으로 총정리한 1편을 붙여서 복잡한 내용의 통일을 기하였다.

   그 사상적 성격은 노장도가(老莊道家)와 음양오행가(陰陽五行家)ㆍ유가ㆍ법가 등의 혼합으로 매우 복잡하며, 그 인식론은 정신ㆍ물질의 이원론(二元論)에서 관념적 도(道)의 일원론에 귀착한다는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중세의 재이미신(災異迷信) 사상의 계보에 이어져 있다. 또, 그 정치론은 봉건통치를 위해 법을 절대화하고 군주를 통치권의 최고 독재자로 하는 극도의 중앙집권체제를 반영하고 있다.

 

 

   <여씨춘추(呂氏春秋)>의 형식을 따르고 지식의 종합을 도모한 것으로 1권에 원도훈(原道訓), 2권에 숙진훈을 두어 도가(道家)의 사상을 서술하였고, 3권 천문훈(天文訓), 4권 지형훈(地形訓) 등을 둔 것은 후세의 백과사전과 같은 ‘유서(類書)’ 분류법의 근원을 이루었다. 그 가운데 9권 주술훈(主術訓) 등에는 법가(法家)의 학설, 19권 수무훈(修務訓)과 20권 태족훈(泰族訓) 등에는 유가(儒家)의 학설을 도입하였다. 부분적으로 모순된 점도 있으나 도가사상으로 통일, 체계화함으로써 후세에 이르러 도장(道藏) 중에도 수록되었다.

   이와 같은 지식의 종합은 한(漢)나라 초기의 사상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한의 통일국가를 배경으로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주요 주석서로 한나라 고유(高誘)의 <회남홍렬해(淮南鴻烈解)>, 청(淸)나라 유태공(劉台拱)의 <회남교보(淮南校補)> 등이 있다.

 

   중국 전한(前漢) 시대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그 빈객(賓客)이었던 학자들과 만든 서적. 내편(內篇) 21편, 외편(外篇) 33편이 있으며, 지금 전하는 21권은 그 내편인 듯하다.

   도가사상(道家思想)을 중심으로 하여 유가(儒家)ㆍ법가(法家) 등의 사상이 섞이고, 서술되어 있는 범위도 대단히 넓어 잡가(雜歌)로 취급된다. 본디 한의 허신(許愼)과 고유(高誘)의 주(註)가 있었으나, 지금은 합병하여 <고유주(高誘註)>라고 제(題)한다.

   그 내용은 도가의 자연천도관(自然天道觀)을 중심으로 선진(先秦)의 도(道)ㆍ법(法)ㆍ음양(陰陽) 등 작가의 사상을 종합한 것이다. 그는 우주 만물이 모두 '도'에서 파생된 것이며, '도'는 은택이 깊고 두터운 것으로, 너무 높아서 다가갈 수 없고 너무 깊어서 헤아릴 수 없으며 음양을 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인식론의 측면에서는 후천적인 학문과 교양을 강조했으며, 정치적으로는 '무위이치'(無爲而治)를 주장했다. 그러나

   "진실로 백성에게 이롭다면 옛 것만을 따를 필요는 없으며, 진실로 일에 이롭다면 옛 것만을 좇을 필요는 없다"(<범론훈(氾論訓)>)

는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유가(儒家)를 '속세의 학문'이라고 공격했다.

 

   <회남자>는 <회남홍열(淮南鴻烈)>이라고도 하는데, 서한(西漢)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 기원전179-122)과 그의 문객이었던 소비(蘇非), 이상(李尙), 오피(伍被) 등이 저술하였다. 내편(內篇) 21편과 외편(外篇) 33편 등 모두 5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가(道家), 유가(儒家), 법가(法家) 등 다양한 학파의 설을 담고 있는 백과전서와 같은 잡가(雜家)의 저작이다.

   유안은 한나라 고조(高祖) 유방의 손자로서 회남왕에 봉하여졌으나, 모반을 일으키다 미수에 그치게 되자 자살하였다. 진(晉)나라 사람 갈홍(葛洪)이 쓴 <신선전(神仙傳)>에는 회남왕 유안에 관한 다음과 같은 이야기들이 실려 있다.

   유안(劉安)은 선학도(仙學道)를 몹시 즐겨, 불로장생(不老長生)의 비법을 찾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노인이 회남왕의 관저 앞에 와서는 스스로 팔공(八公)이라고 칭하며, 자신이 불로장생의 술법을 펼칠 수 있으니 회남왕 유안을 만나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 문지기들은 이 말을 듣고 서둘러 왕에게 아뢰었다.

   유안은 문지기들이 일러준 그 사람의 행색을 듣고 말했다.

   "그는 사기꾼임에 틀림없다. 만약 그가 정말로 불로장생의 술법을 펼칠 수 있다면, 어떻게 그처럼 늙은 모습이 될 수 있겠느냐? 썩 쫓아내도록 하여라."

   팔공은 문지기들이 자신을 안으로 들려 보내주기는커녕 오히려 쫓아 내버리는 이유를 물었다. 문지기들은 회남왕의 말을 되풀이했다. 팔공은 그들의 말을 듣고 껄걸 웃으면 말했다.

   "왕께서 내가 늙은 것을 싫어하신다고? 그렇다면 이제 어려져야겠군."

   말을 채 마치기도 전에, 그는 어린 아이로 변하더니, 홀짝홀짝 뛰면서 회남왕을 만나러 달려갔다. 문지기들도 그를 따라 관저 안으로 들어갔다.

   훗날 회남왕은 팔공의 가르침을 받고 신선(神仙)이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이다.

   유안은 위의 이야기에 나오는 팔공(八公)이라는 신선으로부터 불로장생의 선단(仙丹)을 제조하는 기술을 전수 받았다. 고생 끝에 이 기술을 연마하여, 그는 곧 대낮에 승천하게 되었다.

   그런데 그의 집에 남아 있던 몇 알의 선단을 그의 닭과 개가 먹고 말았다. 그들도 유안의 뒤따라 승천하게 되었는데, 중천에서 '꼬끼오' 하는 소리와 '멍멍멍' 개 짓는 소리가 한참동안이나 어지럽게 들려 왔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