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염병.괴질.펜데믹5 [질병 예측] 걸렸다 하면 절반(50%) 사망 "조류독감" "조류 인플루엔자 대유행 온다" 경고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전 국장이 사망률이 최대 50%에 이르는 조류 독감(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해 경고했다. 2024년 6월 17일 미국 매체 더힐(The hill)에 따르면 지난 14일 로버트 레드필드 전 CDC 국장은 미국 케이블방송에 출연해 조류 인플루엔자 팬데믹(대유행)에 대해 "일어날지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언제 일어나느냐가 관건"이라고 했다.레드필드 전 국장은 조류 인플루엔자가 코로나19보다 인간에게 더욱 치명적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코로나19의 사망률은 0.6%에 그쳤지만 조류 인플루엔자의 사망률은 25~50% 사이가 될 것"이라고 했다. 레드필드 전 국장은 어떤 상황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사람 사이에서 대유행하게 될지 과거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2024. 6. 18. [방광암]왜 걸리는가? 어떤 예방이 필요한가? 아이 엄마 친구의 남편이 최근 혈뇨(血尿) 증상이 있은후에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아본 결과 안타갑게도 방광암(膀胱癌)으로 판정되었다.그래서 나에게도 오줌에 피가 있는지 잘 살펴보라 하여 방광암(膀胱癌, Cancer of the bladder) 을 알아보고자 한다.방광은 신장에서 걸려진 오줌을 일정량으로 저장하는 장기이다. 어느 정도 오줌이 모아지면 소변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이렇게 소중한 신체 장기가 이상이 생겨 암에 걸리게 되었던 것이다.아래 암에 걸린 모습을 도식화 한 것이다.우리나라는 방광암 환자 10년새 45%↑ 증가하고 있어 5대 예방수칙 정도는 알아둬야 한다. 이미 암이 발생하면 괴로운 일상이 펼쳐지고 치병하는데 많은 정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스스로 잘 살펴야 한다. 혈뇨(血尿) .. 2024. 6. 6. [전염병]천연두(두창, 마마) 2024년 예산 삭감 세상은 道보다 돈이 형님이다는 우숫개 소리가 있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이 자금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 이다. 그래서 국회의 자금 편성권은 매우 주요하다. 여권이 돈을 어떻게 설계하는지도 중요하다, 김영주 의원 "필수비축물자 단순 비용 차원 아닌 국가 안보‧국민 안전의 관점서 결정해야" 고 입장을 밝혔다. 정부가 ‘생물테러대비 비축물자구입’ 예산을 대폭 삭감한 여파로 WHO의 권고인 두창백신 보유 예산이 전액 삭감돼 생물테러 안보에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에 따르면 2024년도 질병관리청 예산안을 점검한 결과 윤석열 정부의 내년도 생물테러 대응 예산이 올해 대비 약 60% 삭감됐다. 생물테러는 바이러스, 독소와 같은 생물학 작용제를 이용해 대량 살상을 목적으로 하는 테러다. .. 2023. 10. 11. 인류문명사를 바꾼 전염병 인류문명사를 바꾼 전염병 1차 대전을 종결시킨 스페인독감 1차 세계대전이 전 유럽을 휩쓸고 있던 1918년 초여름, 프랑스에 주둔한 미군 병영의 병사들이 독감으로 앓아눕기 시작했습니다. 기침과 고열을 동반한 이 독감은 전투력의 심각한 손실을 가져왔는데. 3월 초부터 시작된 첫 번째 감염 때는 여느 감기와 크게 다를 게 없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노약자나 환자를 제외하고 젊고 건강한 이들은 쉽게 회복되었습니다. 그런데 변이된 바이러스가 8월, 가을로 접어들면서 갑자기 사나워지기 시작했습니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을 휩쓴 독감은 스페인을 초토화 시키고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까지 확산되었습니다. 듣도 보도 못한 새 바이러스의 공격에 인간들은 너무도 무력하게 넘어갔습니다. 지금은 스페인독감이 발병했던 시대에 비해.. 2023. 9. 9. 스페인 독감의 역사 100년전에 우리 인류는 병으로 난리가 난다는 경험을 했다. 이름하여 스페인 독감이다. 2020. 3.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