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가 사는 시대는
스마트폰 시대이다. 모든것이 스마트폰에서 처리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즉 그 많큼 모든 정보가 스마트폰을 통해서 소통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 스마트폰은 제조사에서 생산한다. 즉 삼성전자와 애플에서 만든 스마트폰이
우리나라에서 주력이다.
그러나 공폰은 아무것도 할 수 가 없다.
말 그대로 공폰이다. 사람으로 보면 육체라고 보면 된다.
아무리 화려한 스마트 폰이어도
통신사 서비스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통신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도록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역활을 하는 즉 두뇌역활을 하는장치, 사람으로 보면 정신과 같은 장치를 제조해서
스마트폰에 삽입해야만 그 휴대폰 작동하게 된다. 전화번호가 인식되어 통화도 하고 , 인터넷이 기지국을 통해서 연결되어 유뷰브도 보고, 카톡도 하고, 문자도 보내고, 송금도 하게 된다. 그 핵심 기술 장치가 바로 유심이다.
유심(USIM)이란 무엇일까요?
유심(USIM)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어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의 모바일 기기의 개통(가입),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의 역할로 사용되는 SIM을 말합니다.
[출처] 이심(eSIM)과 유심(USIM) 자세히 알아보기!
작성자 방송통신위원회
즉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핵심기술이 바로 유심(Usim)이다. 그래서 유심만 교체하면 통신사가 변경된다. 기존에는 휴대폰을 해당 통신사로 제작된 폰으로 변경해야만 통신사가 변경되었지만 지금은 유심만 해당 통신사것으로 변경하면 제조사 스마트폰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바로 유심을 따라서 통신사가 변경된다.
그 많큼 유심(Usim)이 중요하다.
사람으로 보면 두뇌이고, 가장 중요한 심장과도 같은 곳이 바로 유심이다. 기업 보안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정보가 있는 곳이 바로 유심정보이다.
그런데 안타갑겠도 1등 이동통신사인 SKT의 핵심 정보인 유심(Usim) 정보가 해킹되었다는 점이다. 일단은 이 사건은 발생한 것이고 그 정보가 어떻게 악용될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할것이다.
이 사건은 통신업계에서는 초유의 사태로 보고 있다. 그 많큼 큰 사건인것이다.
필자도 통신사에서 근무하고 있기에 그 심각성을 누구보다도 깊게 느끼고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일은
스마트폰으로 금융관련 업무가 다 들어와 있다는 점이다.
즉 스마트폰에는 각 종 은행 어플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번 사건 전에도 많은 스미싱사건이 벌어지고 있는데 대부분 스마트폰으로 통장개설 및 송금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불안해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정보가 해킹당한 것도 걱정인데
그냥 해킹 당한 상태로 휴대폰을 써야하는지에 대해서 불안감이 있다.
그래서 통신사는 유심을 새로 교체해야한다고 이야기하는데
유심은 제조해서 공급해야 하는데 단기간에 어떻게 그렇게 많은
유심을 제조해서 공급할 수 있겠는가 잘해야 100만 정도밖에 공급안되는데
국민 절반이 변경하려면 한 세월지나야 할것이다.
물론 KT나 LG로 유심을 변경하면 해결되지만
SK에서 변경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리기에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다.
특히 해킹이나 스미싱등 피해 경험이 있는 분들이 더이상 기다릴 시간이 없을 것이다.
휴대폰을 그대로 사용하고 유심이라도 여유가 있는 통신사로 변경해서 위험을 예방해야 할것이다.
스마트폰은 옆에 없으면 안되는 가장 소중한 서비스이다. 스마트폰 시대에 단 한시도 없으면 안되는 가장 소중하고 가장 많은 정보가 있는 그 정보를 관리하는 유심이 해킹되어서는
절대로 안되는 그런일이 벌어져서 너무 안타까운 일이다. 조금이라도 이상한 현상이 스마트폰에서 벌어지면 반드시 확인하고 피해를 예방하는 조치를 해야 할 것이다. 혹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질문을 주시면 아는 범위내에서 답변을 드리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마케팅과 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집투어]오스테리아 감베리 오픈 (4) | 2024.01.19 |
---|---|
[하이테크 시대]테이블 오더는 이제 일상이다. (4) | 2024.01.18 |
[겨울 여행]청풍레이크 카라반 (2) | 2024.01.10 |
[PG사 VAN사] 어떤 문제인가? (4) | 2024.01.08 |
[맛집기행]맛의 명가! 춘천골 (4)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