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오라1 [키를리안 사진] 사람의 오오라(Aura)를 찍다 러시아는 기초과학이 발달했다. 그래서 그런지 키를리안 사진이라는 것이 있다. 러시아의 전기공 세묜 키를리안(Semyon Kirlian 1900~1980)이 1939년 우연히 발견한 현상이자, 그가 같은 해 개발한 사진 기법의 명칭. 고주파 고전압의 전기를 피사체에 가했을 때 피사체 주변으로 희미한 발광 현상이 촬영되는 것을 말한다. 과학적 원리 발광 현상 자체는 초자연적 현상은 아니고, 즉 과학인 것이다. 절연체로 분리된 두 전극 사이에 특정 크기의 전압이 걸렸을 때 나타나는 '코로나 방전' 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다. 두 전극 사이의 전압이 작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전압이 너무 크면 절연 파괴가 일어나 마치 번개처럼 절연체를 통과해서 전류가 흐르는데, 전압의 크기가 절연 파괴를 일으키기에는 부족.. 2024. 1.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