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두산 화산 폭발, 현실로 다가오는 위협인가?
[백두산의 역사와 분화 기록]
백두산은 한반도와 중국 국경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946년 발생한 대규모 분화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화산 폭발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분화로 인해 화산재가 일본까지 퍼졌으며, 그 영향은 전 세계에 미쳤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른바 '천년분화'는 두 차례에 걸쳐 발생했으며, 그 간격은 1~2개월로 추정됩니다 .
[현재 백두산의 상태와 과학적 전망]
2002년부터 2005년 사이 백두산 천지 주변에서 약 8,000회의 화산성 지진이 발생했으며, 온천수 온도는 섭씨 83도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백두산이 여전히 활발한 화산임을 시사합니다 . 그러나 기상청은 2018년부터 5년간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2025년 백두산 폭발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습니다 .
[언론 보도와 전문가 의견]
일부 언론에서는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을 강조하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시기를 특정하여 폭발을 예측하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윤성효 부산대 교수는 "시기를 특정해 (백두산) 화산의 강한 폭발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사기꾼"이라고 언급하며,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우리에게 필요한 대응과 준비]
백두산 화산 폭발이 현실화될 경우, 인근 지역은 물론 한반도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필요합니다. 현재 기상청은 중국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백두산의 화산 활동을 감시하고 있으며, 부산대 화산특화 연구센터에서는 조기경보 체계 수립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2025년 폭발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 기상청의 공식 입장입니다. 백두산은 활화산으로서 언젠가는 폭발할 가능성이 있지만, 최근 관측된 마그마 활동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폭발을 뒷받침할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과거 백두산은 946년 대규모 폭발을 일으켜 일본 홋카이도까지 화산재가 날아간 기록이 있습니다. 이후에도 크고 작은 화산 활동이 있었지만, 100년 주기 폭발설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며, 특정 연도에 폭발이 발생한다고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만약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북한과 중국 동북부 지역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화산재로 인해 항공 운항이 중단될 수 있으며, 농업과 식수 공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대비해 국제 연구기관들이 백두산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대지진. 대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미야자키현 해역 강진 (0) | 2024.08.10 |
---|---|
[대지진]일본 노토반도 대지진 (0) | 2024.01.06 |
[대지진] 아프카니스탄 2,000명 사망 (1) | 2023.10.07 |
[대지진] 모로코(Morocco)의 대지진_3000명 사망 (0) | 2023.09.16 |
[기후변화재앙]리비아(Libya) 대홍수_최대 2만명 사상자 발생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