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교의 세계40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 조계사의 역사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 조계사의 역사 -대웅전 건물의 증산도 제1변 보천교의 십일전건물을 옮겨서 건축했다- 조계사의 창건은 각황사(覺皇寺)에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각황사는 1910년 창건되었으며 그 전에 원흥사(元興寺)에 있던 조선불교중앙회사무소를 옮겨와 한국 근대불교의 새 불교운동을 이어가게 했던 중심 사찰입니다. 당시 일본은 총독부가 조선사찰령이라는 것을 선포하여 우리나라의 모든 사찰을 그들의 일본사원인 장충단의 박문사(博文寺)에 귀속시키려 하였는데, 이를 저지하기 위하여 해인사 주지 회광, 마곡사 주지 만공, 그리고 용운스님 등이 31본산주지회의를 열게 되었고 그때 만해 용운스님이 ‘조선불교의 개혁안’을 통하여 조선불교의 통일기반인 총본산제도를 주창했습니다. 이어서 1929년 전국에서 모인 104.. 2023. 9. 9. [질의응답] 성현이 이 세상에 출현하는 사명은 무엇인가? 떨고있는 어피치님 제가 앞으로 말씀드리는 내용에 대한 내용은 자신의 습관(업)에 따라 와닿는 분도 계실 것이고 별로 와덯지 않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강요할 생각은 없고, 틀린 것일 수도 있으니, 스스로 잘 판단하여 받아들이시면 되겠습니다. 저에게 와닿는 것에 대해 함께 나누고자 하는 마음에서 올리는 것일 뿐입니다. 불편한 마음이 드시면 저를 쫒아내셔도 좋습니다. 잘 못 이해한 걸 수도 있지만, 오늘 공부한 내용을 이해하기로는, 세상의 현현은 신의 완전성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때문에 이를 허상이고 영적세계만이 실제라고 보는 관념은 잘못이다. 현실은 조물주를 표현하는 것인 만큼 매우 중요하고, 이를 부정하는 것은 잘못이다. 현실로 나타나지 못할 정도로 에너지가 약한 영혼들은 결국 소멸하게 된다. 깨달음에 이.. 2023. 8. 30. 이병철 회장의 24가지 인생철학 질문 오늘 퇴근길에 가수 박진영의 스토리를 들었다. 대학을 졸업할때 20억만 있으면 행복할것 같다며 인생의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 가수로 성공하여 젊은 나이에 20억을 모았다. 그러나 행복을 완전히 느끼지 못했다고 한다. 무엇이 부족한가를 사색한 결과 명예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다음 목표로 빌보드 차트에 올려 명예를 얻고자 목표를 삼았다. 명에를 얻었으나, 행복을 다 얻지를 못하였다. 돈과 명예면 다 인줄 았았지만 부족한 것이 있었다. 그것이 인생의 참된 의미가 무었인가?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보다 먼저 돈과 명예를 다 얻은 최고의 1등 기업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은 죽기전에 24가지 인생의 비밀을 알고 싶어 편지를 보냈으나 설교를 듣지 못하고 죽게 되었다. 사람들은 돈과 명예를 얻고서야 그것이 다.. 2023. 8. 14. 석가불과 미륵불 강세 이야기 ♣《석가불과 미륵불 강세 이야기!》♣ ☆《석가부처님의 생애》☆ ※석가모니 부처님은 지금부터 3천년전 인도북부 히말라야 기슭의 카필라 왕국에서 슈도다나(정반왕)와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싯다르타는 생후 7일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이모인 '파자파티'의 손에서 자라났다. ※싯다르타의 부왕은 가출을 염려하여 골리왕국의 공주 '야소다라'와 혼인을 시켜 아들 라훌라('장애물'이란 뜻을가진 이름)를 낳았으나...싯다르타는 모든 번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29세에 출가를 하였다. ※출가하여 6년 고행 수행후 수자타의 우유 공양후 기력을 회복하고 35세 되던 12월8일 보리수밑에서 정각을 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이후 수 많은 설법을 하여 입멸하기 80세까지 45년간 설법을 하였다. ☆《석가 부처님이 말씀하신 말법시대 .. 2023. 6. 20. 반야산과 관촉사 반야산 논산시 시가지로부터 남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산의 주변은 전체적으로 시가지이면서 충적지에서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산의 남쪽의 구릉지에서는 과수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산정에는 토성이 있는데, 이곳에서 석기시대의 돌칼과 돌숟가락 등이 출토되었다. 반야산의 남쪽에는 968년(광종 19)에 혜명(慧明)이 창건한 관촉사(灌燭寺)가 있다. 관촉사는 옛날 중국의 지안(智安)이라는 명승이 이 절에 세워진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보고 “아아, 마치 촛불을 보는 것같이 미륵이 빛난다.”고 하면서 예배하였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높이 18.2m, 국보 제323호, 관촉사. 고려시대 최대의 석불입상으로서 일명 ‘은진미륵’이라고도 불린다. 기록에 .. 2020. 2. 16. 칠보발전소와 계화도 간척사업 남해로 흐르는 물을 서해로 돌린 칠보 수력발전소와 계화도 간척사업 "저 산에 콧구멍이 둘이 있으니 후일에 저 콧구멍으로 물이 나와서 불을 쓰리라" (도전 5:141:9) 강증산 상제님의 천지공사에 의해 전개되어온 20세기 인류역사 19세기말부터 오늘날까지 100여년간 인류사 발전의 행보는 이전의 역사와는 비교 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20세기의 이러한 급속한 역사 발전의 원인을 흔히 과학기술의 발전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러한 역사발전의 이면에 1901년부터 1909년까지 강증산 상제님께서 천지공사(천지공사)를 통해 역사의 물길을 터 놓으셨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1차 세계대전, 2차세계대전을 비롯하여 우리 나라 남북분단과 최근 현대그룹의 고 정주영씨가 소를 .. 2018. 10. 21. 귀방(鬼方) 귀문 [鬼門] 귀방(鬼方)이라고도 한다. 원한을 품거나 인간에게 해코지를 하는 귀신들은 동쪽 바다 한 가운데에 있다는 도삭산(度朔山)에 모여 사는데, 도삭산에는 복숭아 나무가 한 그루 있다고 한다. 이 나무는 동북쪽으로 3천리까지 가지가 길게 뻗어 있고, 이 가지를 따라가면 이승과 연결된 귀문(鬼門)이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이런 연유로 동북향을 귀방(鬼方)이라 하며, 점술가(占術家)들은 이 방위를 귀신이 드나든다 하여 매사에 꺼린다. 2018. 8. 18. 보살 보디(bodhi)는 budh(깨닫다)에서 파생된 말로 깨달음 ·지혜 ·불지(佛智)라는 의미를 지니며, 사트바(sattva)는 as(존재하다)가 어원으로 생명 있는 존재, 즉 중생(衆生) ·유정(有情)을 뜻한다. 보살의 일반적인 정의(定義)는 ‘보리를 구하고 있는 유정으로서 보리를 증득(證得)할 것이 확정된 유정’ ‘구도자(求道者)’ 또는 ‘지혜를 가진 사람’ ‘지혜를 본질로 하는 사람’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보살이 모든 사람을 뜻하게 된 것은 대승불교(大乘佛敎)가 확립된 뒤부터이지만, 그 용어와 개념의 시초는 BC 2세기경에 성립된 본생담(本生譚:석가의 前生에 관한 이야기)에서였다. 본생담은 크게 깨달음을 얻은 석가를 신성시하고, 그 깨달음의 근원을 전생에서 이룩한 갖가지 수행에서 찾는 것이다. 그러.. 2018. 7. 1. [펀글]티벳 선교 이야기 [티벳에 카톨릭 선교 역사] 1328년 오데리코(Oderice Da Pordenone, 1265~1331, 프란체스코파 신부로 1325~1328년까지 북경에 체재 귀국 도중 티베트에 포교차 들렀다고 전하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음) 신부는 포교를 목적으로 티베트에 들어간 최초의 카톨릭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예수 이상으로 많은 것을 행하고 있는 라마승들을 보고 포교는 엄두도 못낸 채 자신이 본 것을 기록해 가지고 본국으로 돌아가 버리고 말았다. 교황청에서는 이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면 카톨릭에 적지 않은 타격을 미칠 것이라 우려하여 이 보고서를 모두 태워버렸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각국에 선교사를 파견하면서도 티베트 포교는 아예 단념했다는 것이다.예수 이상으로 기적을 일으키는 사람이 많다는 이유 때문.. 2018. 4. 14. 한퇴지와 태전선사 일화 한퇴지와 태전선사 일화 당(唐)나라 중기 남양 등주땅에 태어나 뛰어난 문장으로 후세에 당, 송 팔대가의 한사람으로 추앙받은 한퇴지(韓退之, 한유)는 처음에는 불교를 매우 배척하여 자사(지방장관, 주지사) 벼슬에 올라 불법을 비방하는 글을 자주 상소하다가 왕(憲完, 헌종)의 미움을 받아 서울(장안)에서 8000리 떨어진 변방의 조주(潮州) 자사로 좌천되었다. 그때 조주땅에는 태전선사라는 고승이 축령봉에서 수년간 수도에만 전념하여 생불(生佛)로 추앙받고 있었다. 한퇴지는 문득 태전선사를 시험해서 불교를 다시 한 번 깍아 내리고 싶은 생각에 그 고을에서 유명한 기생 홍련을 불러 계교를 일러 주었다. 만약 백일안에 태전선사를 파계시키면 후한상을 내리겠거니와 실패하는 날에는 죽음을 각오할 것을 약속하였다. 홍련은.. 2018. 4. 7. 이전 1 2 다음 반응형